나노소재공정실 / Nano Material and Processing Lab.
1. 연구내용
나노소재공정실험실에서는 electrostatic process를 기반으로 electrospining, electrospray를 통해 환경/에너지/전자 나노소재에 관한 연구 수행
2. 연구분야 Key words
나노/마이크로 복합소재, 디스플레이용 나노소재
3. 주요연구 테마
① 탄소나노섬유
탄소나노섬유는 탄소함량이 92% 이상이며 직경이 나노미터인 섬유를 말하며, 이는 경량, 고강도, 고탄성률의 특성을 지니고 있음. 연구실에서는 PAN전구체를 전기방사와 탄화공정을 이용하여 탄소나노섬유를 형성후 다양한 분야에 적용
탄소나노섬유는 탄소함량이 92% 이상이며 직경이 나노미터인 섬유를 말하며, 이는 경량, 고강도, 고탄성률의 특성을 지니고 있음. 연구실에서는 PAN전구체를 전기방사와 탄화공정을 이용하여 탄소나노섬유를 형성후 다양한 분야에 적용
② 광결정
빛의 파장영역으로 유전률이 반복되는 구조를 지닌 광결정 구조는 특정 파장영역의 가시광영역의 빛 완전히 반사시킴. 연구실에서는 PS나노입자를 이용한 광결정 형성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으며 이를 디스플레이소자, 광도파로 등의 광학장치에 적용
빛의 파장영역으로 유전률이 반복되는 구조를 지닌 광결정 구조는 특정 파장영역의 가시광영역의 빛 완전히 반사시킴. 연구실에서는 PS나노입자를 이용한 광결정 형성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으며 이를 디스플레이소자, 광도파로 등의 광학장치에 적용
③ 반도체 산화물
ZnO (산화아연)은 3.37eV의 넓은 밴드갭 에너지를 가진 화합물 반도체로써 유용한 전기적, 광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발광소자, 태양전지 및 화학센서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음. 연구실에서는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산화아연 나노구조물을 제조 후 다양한 분야에 적용
ZnO (산화아연)은 3.37eV의 넓은 밴드갭 에너지를 가진 화합물 반도체로써 유용한 전기적, 광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발광소자, 태양전지 및 화학센서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음. 연구실에서는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산화아연 나노구조물을 제조 후 다양한 분야에 적용
4. 최근 수행과제
- 2009.09-2010.08 LG전자(주) 옷감손상 발생 메커니즘의 규명
- 2008.08-2010.07 지식 경제부 멀티레이어/ Air entangled 부직포의 구조분석
- 2008.05-2010.04 지식 경제부 페라이트자석 성형용 등방성 복합부직포 필터 개발
- 2007.12-2008.11 지식 경제부 복합 gradient 부직포 프리 신소재 개발